자아초월 6

그로프의 숨치료: 필수 구성요소 3. 억압을 풀어내는 바디워크(몸작업) 사용

3. 억압을 풀어내는 바디워크(몸작업) 사용 홀로트로픽 호흡은 과호흡증후군을 유발한다? 홀로트로픽 호흡법을 행하면, 신체적 반응은 개인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호흡생리학 책에서는 가속호흡 후 이러한 반응을 '과호흡 증후군'으로 언급하고 있다. 과호흡 증후군의 증상은 손발의 긴장(수족경련)이 전형적인 패턴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서너시간의 빠른 호흡이 고전적인 과호흡 증후군으로 이어지지 않음왜냐하면,  빠른 호흡은 점진적 이완, 강렬한 성적 감정, 신비체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음몸의 여러 부분에 긴장이 생기지만, 전형적인 수족경련 패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이 과정은 절정에 도달한 후 깊은 이완으로 이어지며, 이는 성적 오르가즘과 유사한 패턴을 보임 홀로트로픽 호흡법은 오히려 긴장해소의 치유과정으로 ..

그로프 숨치료 집중과정(2025. 3월 수련일지)-2일 차

2일 차에도 브리더를 했다. 세션을 시작하기 전에 '바람'이 잘 다녀오라고 손을 잡고 머리를 쓰다듬어 줬을 때, 나는 다시 슬픔이 울컥하고 올라왔다. 그 장면은 내가 언제나 상상해 오던 엄마와 딸의 아프고도 다정한 모습이라고 느껴졌다. 눈물을 주룩주룩 흘리면서 세션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렇게 작업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호흡을 하면서 너무 지친다는 느낌이 들었다. '힘들다. 힘을 낼 수 없다. 낼 힘이 없다.'고 느껴졌다. 그러다 슬픔이 올라왔다. '나를 왜 버렸을까?'에서 '나를 왜 버렸어?'라는 외침으로 바뀌었다. 그러다 '당신이 사람이야? 어떻게 그럴 수 있지?'라고 소리를 지르고 싶었다. 하지만 목소리를 낼 용기가 없었고, 표현하지 않으니 그 감정은 사라져 버렸다. 다시 무력하고, 무감각으로 돌아..

그로프 숨치료 집중과정(2025. 3월 수련일지)-1일 차

작년 9월에 숨치료 일반과정을 첫 경험했다. 그 경험을 통해 나는 안정감을 느꼈고, 자신의 경험을 믿게 되었고, 발표장면에서 덜 떨게 되었다는 자각이 있었다. 나는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기질적으로 예기불안이 높았고, 특히나 발표를 하는 것은 나에게 언제나 돌발적인 상황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었다. 여전히 불안에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오랜 시간 여러 가지 작업을 통해 많은 부분 해소가 되었고, 정리가 되었다. 기존에 하던 작업들은 그대로 하고 있으며, 여전히 도움이 된다. 하지만 뭔가 배아래에 있는 것들이 더 나와야 할 것만 같은 답답함, 그리고 호기심, 더 이해하고 싶은 열망이 나를 트숨 집중과정으로 이끌었다.  1일 차(브리더) 3인 1조로 조원을 정하는 것에서부터 나는 걱정이 앞..

그로프의 숨치료: 필수 구성요소 2. 음악의 치유 가능성

역사적 맥락샤머니즘과 전통 의식은 수천 년 동안 다양한 문화권에서 단조로운 드럼 소리, 음악용 래틀 소리, 찬양 등이 샤머니즘과 치유 의식에 활용되어 왔음. 또한, 지릭(1974, 1982), 네허(1961, 1962), 카미야(1969), 맥스필드(1990, 1994) 등의 연구를 통해 특정 드럼 리듬이 뇌의 전기 활동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음 치유 전통 사례- 고대 인도 전통: 나다 요가 '소리를 통한 합일로 가는 길'로 불리며, 감정적, 심신성, 육체적 건강 회복에 활용- 고대 인도 문자 스와라 경전에 따르면, 온전한 헌신과 적절한 발음으로 특정한 찬트를 찬양하는 것은 정묘체(나디와 차크라)의 에너지 통로에 영향을 주고, 생명에너지 흐름과 혈액 순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나아..

그로프의 숨치료: 필수 구성요소 1. 호흡의 치유력

그로프의 숨치료의 필수구성요소 그로프 숨치료와 자기탐구는 홀로트로픽 의식 상태를 유도하는 간단하면서  강력한 수단을 활용한다.그 핵심은 - 빠른 호흡, 환기를 돕는 음악, 그리고 억압을 풀어내는 신체작업(body work)-에 있으며,  이를 통해  치유와 변용의 힘을 경험할 수 있다. 홀로트로픽 상태는 무의식의 전기(생애사적), 주산기와 자아초월적 영역에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정서와 정신신체 장애의 깊은 심리 영적 뿌리에 닿게 한다. 이 과정이 흥미로운 것은 자발적이고 자율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특정 심리치료 학파의 원칙을 따르는 치료자에 의해 인도되기보다, 오히려 브리더(호흡자) 내면의 치유지능에 의해 주도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현대 정신의학과 심리학에서 새로운 것으로 여겨진다. 사실 고대 토착문..

그로프의 숨치료(Holotropic Breathwork): 홀로트로픽의 의미

홀로트래픽 숨치료는 체코 출신의 정신과 의사(60년 이상의 비일상적 의식 상태 연구)로 자아초월심리학의 창시자이며, 이 분야의 최고 이론가 중에 한 명인 스타니슬라프 그로프(Stanislav Grof, 1931~)와 그의 아내 크리스티나 그로프가 1970년 대에 개발한 비약물적 의식 확장 기법이다.  그로프 박사는 LSD의 치료적 활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으나, 1970년대 LSD가 법적으로 규제되면서 약물 없이도 유사한 의식 상태에 도달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모색했다. 그 결과 개발된 것이 홀로트로픽 숨치료이다.  비일상적 의식 상태에 대한 연구 끝에 '홀로트로픽(holotropic)'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냈다. 그로프는 저서에서 이렇게 설명한다.우리가 이 범주의 비일상적 의식 상태의 독특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