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숨(그로프 숨치료)

그로프의 숨치료: 필수 구성요소 3. 억압을 풀어내는 바디워크(몸작업) 사용

lay_lee 2025. 4. 4. 15:44

3. 억압을 풀어내는 바디워크(몸작업) 사용

 

홀로트로픽 호흡은 과호흡증후군을 유발한다?

 

홀로트로픽 호흡법을 행하면, 신체적 반응은 개인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호흡생리학 책에서는 가속호흡 후 이러한 반응을 '과호흡 증후군'으로 언급하고 있다. 과호흡 증후군의 증상은 손발의 긴장(수족경련)이 전형적인 패턴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서너시간의 빠른 호흡이 고전적인 과호흡 증후군으로 이어지지 않음

왜냐하면, 

  •  빠른 호흡은 점진적 이완, 강렬한 성적 감정, 신비체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음
  • 몸의 여러 부분에 긴장이 생기지만, 전형적인 수족경련 패턴 증상이 나타나지 않음
  • 이 과정은 절정에 도달한 후 깊은 이완으로 이어지며, 이는 성적 오르가즘과 유사한 패턴을 보임

 

홀로트로픽 호흡법은 오히려 긴장해소의 치유과정으로 연결된다. 왜?

  • 반복된 홀로트로픽 세션에서 긴장과 이완의 과정은 신체의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게 됨
  • 세션이 반복될수록 전체적인 근육 긴장과 강렬한 감정의 양이 감소함
  • 오랜 시간동안 빠른 호흡은 체내 화학 변화를 변화시켜 트라우마와 관련된 에너지가 해소되고 처리될 수 있게 함
  • 이는 억압된 기억의 내용이 의식으로 떠올라 통합될 수 있게 하는 치유과정

 

그 주요 매커니즘(두 가지)은?

 

1) 정화 또는 정서적 방출(abreaction)

 

정화

  • 떨림, 경련, 다양한 움직임, 기침, 구토를 통한 억눌린 신체 에너지 방출
  • 울음, 소리지름, 다른 종류의 목소리 표현을 통해 차단되었던 감정을 방출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카타르시스(katharsis)'용어에 적합함

 

방출

 

프로이트와 브로이어(Freud & Breuer, 1936)의 히스테리 연구에서 명명하면서 발전된 개념으로 잘 알려짐

주류 정신의학과 심리치료의 방출의 치료적 가치를 둘러싼 논쟁

 

2) 지속적 근육 수축을 통한 에너지 소비

 

  • 방출의 효능과 동등하거나 심지어 능가함
  • 깊은 긴장감은 다양한 지속시간으로 꾸준하게 근육 수축의 형태를 띠며 표면화 됨
  • 이런 긴장을 오래 유지함으로써 억압된 에너지를 태워버리고 신체 기능을 단순화 시킴
  • 일시적 긴장 강화 후 깊은 이완(치유적 성격)으로 이어짐
  • 스포츠 생리학의 등력(等力, isonic) 운동과 등척(等尺, isometic) 운동과 유사한 원리

 

바디워크(몸 작업)는 어떻게 적용할까?

 

  • 홀로트로픽 세션에서 자연스럽게 이완 상태로 들어자기 못한 경우 적용
  • 촉진자는 브리더에게 문제 영역에 주의를 집중하고 감각을 강화하도록 안내
  • 외부에서 적절한 신체적 개입으로 이러한 감각을 더욱 증폭시킴
  • 브리더의 자발적 신체적, 성대적 반응을 격려함(이러한 반응은 브리더의 의식적 선택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완전히 무의식의 과정에서 결정되어야 함): 방언, 미지의 외국어, 아기 옹알이, 무의미한 말들의 나열, 특정 동물의 목소리, 주술적인 찬트, 또는 브리더가 모르는 특정한 문화에서 나오는 또 다른 형태의 목소리 연주 등
  • 마찬가지로 심한 떨림, 흔들림, 기침, 목이 막힘, 구토와 같은 전혀 예기치 못한 신체적 반응뿐 아니라 오르기, 날아감, 기어다니기, 미끄럼등 특징적인 동물 운동이 드러나기도 함
  • 특정 치료 기법을 적용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격려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수적임

 

브리더의 안전과 자율성은 어떤 방식으로 존중되나?

  • 브리더는 촉진자의 바디워크 개입에 '멈춰'라고 말해서 언제든지 개입을 중단할 수 있음
  • 촉진자는 이 신호를 들으면 모든 개입을 중단하고 브리더로부터 피드백(왜 그 신호가 사용되었는지)을 받음
  • 브리더의 동의없이 계속 진행하는 것은 심각한 신뢰 위반이 됨
  • 그렇지만 내면 작업 과정에서 나오는 다른 표현('날 내버려둬, 꺼져라, 내게서 떨어져라' 등)은 중지 신호로 간주 되지 않음

Da Nang

 

* 참고문헌: Stanislav Grof, Christina Grof, Holotropic Breathwork: A New Approach to Self-Exploration and Therapy Transpersonal Humanist Psychol, 2edition, 2023

김명권 , 신인수 , 이난복 , 황성옥 번역, 홀로트로픽 숨치료, 학지사,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