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 100a 금세공사의 경(Paṭhamasuvaṇṇakārasutta) ①
1. [세존] “수행승들이여, 금광에는 진흙과 모래, 자갈과 돌조각의 거친 불순물이 있다. 불순물을 제거하는 자나 그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자가 통 가운데 그것을 뿌려서 세척하되 두루 세척하고 완전히 세척한다. 그것이 제거되고 그것이 없어지더라도 금광의 미세한 자갈과 굵은 모래의 중간 불순물이 있다. 불순물을 제거하는 자나 그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자가 통 가운데 그것을 뿌려서 세척하되 두루 세척하고 완전히 세척한다. 그것이 없어지더라도 금광의 미세한 모래와 검은 반점의 작은 불순물이 있다. 불순물을 제거하는 자나 그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자가 통 가운데 그것을 뿌려서 세척하되 두루 세척하고 완전히 세척한다. 그것이 제거되고 그것이 없어지면 거기에 금광만 남는다.
2 . 금세공사나 금세공사의 제자가 그 금광을 용광로에 넣고 녹이되, 두루 녹이고 완전히 녹인다. 그 금광이 아직 녹지 않고 두루 녹지 않고 완전히 녹지 않고 아직 찌꺼기가 있고 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유연하지 않고 다루기 힘들고 빛나지 않고 부서지기 쉽고 올바로 가공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금세공사나 금세공사의 제자가 그 금광을 용광로에 넣고 녹이되, 두루 녹이고 완전히 녹인다. 그 금광이 녹고 두루 녹고 완전히 녹아서 찌꺼기가 없고 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면, 유연하고 다루기 쉽고 빛나고 부서지기 어렵고 올바로 가공하기에 적당해진다. 그것으로 금박이든 귀걸이이든 목걸이이든 금영락이든지 어떠한 장신구를 만들기 원하더라도, 그것은 그 목적에 적합하다.
3. 수행승들이여, 이와 같이 보다 높은 마음을 닦는 수행승들에게 1) 신체적인 악행, 2) 언어적인 악행, 3) 정신적인 악행과 같은 거친 불순물이 있다. 주의 깊은 유능한 수행승은 그것을 끊어버리고 제거하고 종식시키고 생겨나지 않게 한다. 그것이 제거되고 그것이 없어지더라도 보다 높은 마음을 닦는 수행승들에게 1) 감각적 욕망에 매인 사유, 2) 분노에 매인 사유, 3) 폭력에 매인 사유와 같은 중간의 불순물이 있다. 주의 깊은 유능한 수행승은 그것을 끊어버리고 제거하고 종식시키고 생겨나지 않게 한다. 그것이 제거되고 그것이 없어지더라도 보다 높은 마음을 닦는 수행승에게 1) 가문에 대한 사유, 2) 국가에 대한 사유, 3) 자존에 대한 사유와 같은 작은 불순물이 있다. 주의 깊은 유능한 수행승은 그것을 끊어버리고 제거하고 종식시키고 생겨나지 않게 한다. 그것이 제거되고 그것이 없어지면, 거기에 *가르침에 대한 사유(dhamma-vitakka)가 남는다. 그러나 그 *삼매는 평화롭지 않고 탁월하지도 않고 고요하지도 않고 통일성에 도달하지 못해서 노력을 기울여 겨우 유지하는 제어이다.
ANⅠ 253. 전재성 역주 p. 525
* dhamma-vitakka : 열 가지의 통찰의 오염에 대한 사유(dasavipassanūpakilesavitakka)를 뜻한다. 열 가지 통찰의 경계적 오염이란 ① 빛, ② 앎, ③ 희열, ④ 안온, ⑤ 행복, ⑥ 확신, ⑦ 분발, ⑧ 확립, ⑨ 평정, ⑩ 욕구이다.(Vism. XX. 105)
* 이것은 정신적인 오염이 충분치 못한 통찰수행으로는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다시 열 가지의 통찰의 오염이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의 성과에 대한 자만과 같은 것은 다시 의도적으로 반복적으로 제거되어야 한다.